
똑똑하게 우리아이를 칭찬하는 법이 따로 있다 ?
아이들은 무엇이 옳고 그를지, 어떻게 해야 할지모를 뿐 아니라,
하고자 해도 맘대로 안 되는 일이 많다.
따라서 적절한칭찬을 통해 아이의 행동을 유도하는 것이 유아기 훈육의 기초가 된다.
그렇다면,
아이에게 칭찬은 왜 필요한가? 왜 해야하는가 ? 에 대해 알아보자 !
● 아이의 지능과 정서 발달에 좋으며 동기 유발을 시킨다.
칭찬을 많이 받은 아이가 야단을 많이 맞은 아이보다 성격이 더 원만하다. 칭찬은 아이의 정서를 안정시켜서 감성지수를 최대한 높이는 묘약과 같다.
우리나라 속담에 "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 라는 말이 있듯이 칭찬은
행동 또는 결과의 변화를 만들뿐만 아니라 자신감을 쌓아주는 아주 중요한
단계이다. 엄마가 조바심내기보다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칭찬으로 격려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아이의 행위에 대한 엄마의 적절한 반응과 격려는 아이에게 어떤 행동을 하고 싶다는 충분한 동기유발과 생각지도 못했던 자기발견의 기회가 된다.
● 엄마 자신이 긍정적으로 변화함과 동시에 아이와의 유대감을 높인다.
칭찬을 하면 듣는 아이보다 엄마가 먼저 변하게 된다.
아이를 칭찬하는 것은 긍정적인 엄마의 모습을 갖추는 과정이기도 하다.
긍정적인 생각과 자세로 우리아이를 관찰하며 아이의 행동을 읽어주며 칭찬함으로써 엄마의 양육마음/태도에도 여유로운 마음과 안정감을
느낄 것 이다.
아이들이 엄마 말을 안 듣는 것만 같아도 가끔은 엄마가 보든 안 보든 엄마가 올바로 하라고 했던 일들을 실천하는 순간이 있다.
아이의 행동을 세심하게 관찰하다가 이런 순간을 놓치지 말고 칭찬해 주도록 한다. 엄마의 관심은 아이에게 '엄마는 니를 잘 알고 이해 해주는 사람'이라
인식을 심어줄수 있어 아이와의 상호관계에 좋은 영향을 준다.

아이에게 칭찬은 어떻게 ??
● 적어도 하루에 한 번은 칭찬하기 !
아이를 존중하는 마음 담아서 칭찬하기 !!
마땅히 칭찬할 만한 일이 없다고할지 모르지만 보는 시각에 따라 아이의 행동은 충분한 칭찬거리가 된다.
갖고 놀던 장난감을 상자에 담을 때(설사 하다 말더라도), 혼자서 밥 한 그릇을 뚝딱 비웠을 때(물론 식탁 위에 밥알이 수북히 쌍이더라도)등 아이의 좋은 행동을 격려해줄수 있는 일을 찾아 칭찬을 자주 해 준다.
아이가말을 할때 그것을 진지하게 들어주고 맞장구를 치는 것이 칭찬의 기본이다.
" 그래, 그랬구나 ! 우리 00이는 동생을 사랑하는 멋진 형아라서 동생한테 장난감을 빌려주는 거지. 00이가 장난감을 나눠 동생이랑 함께 노니,
그 모습이 너무 예쁘구나!! 그리고 엄마는 우리 00이랑 동생에게 줄 간식을
만들시간도 생겼네 ~ " 하고 상황에 맞게 아이의 마음과 행동을 읽어주며
칭찬한 후 구체적으로 어느 부분이 잘 되었는지 말해준다.
● 사람들 앞에서 칭찬하기 !
칭찬한 일을 기억해두었다가 가족들이 모인 자리에서 "00이는 책을 잘 읽어서 늘 칭찬받아요. 그렇지?"라고 말해준다.
많은 사람들 앞에서 한 번 더 칭찬을 받는 일은 아이에게 앞으로도 그렇게 행동하는 것이 좋다는 확인과 다짐이 된다.
혹은 "아빠가 오면 00이가 한 걸 보여드리자/자랑하자"라고 말해서 아이가 칭찬의 효과를 두번 느낄 수 있도록 상황을 만들어준다.
아빠가 퇴근하고 돌아와 다시한번 칭찬해주면 아이의 만족감은 그 배가
되며 뿌듯함과 자존감이 상승할 것 이다.
이것이 칭찬의 힘이다 !
● 아이가 스스로 한 일만 칭찬하기 !
멀티 플레이로 칭찬하기 !!
칭찬은 아이가 스스로한 일, 행동에 초점을 맞춰야 칭찬받은 행동을 반복하며 생활화할 수 있다. 또한 칭찬은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표현이어야 한다. "우리 00이는 참 착하지" 보다는 "00이가 오늘은 먹기 힘들어하던 김침도 잘 먹었구나 ! 정말 용기있었어~ / 대단해~ " 라고 말한다.
그래야 아이도 앞으로 어떤 행동을 반복해야 하는지 확실하게 알게 된다.
아이가 좋아하는 스티커를 칭찬의 표시로 하나씩 주면 노트에 하나씩 붙이는
재미에 아이가 칭찬의 기쁨을 배우게 된다. 엄지를 들어 '최고' 라는 표시를 하거나 손가락으로 '브이' 를 표시하는 방법도 좋다.
'엄마가 처음이다 (육아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수면 / 아기 밤잠 / 아기 재우기 / 영아 산통 / 영아돌연사증후군 (1) | 2023.09.20 |
---|---|
돌 전 금지 음식 / 돌 전 먹으면 안되는 음식 / 돌아기 금지음식 (7) | 2023.09.19 |
아기 유치관리 / 아기 치아 관리법 / 아기 이닦기 (6) | 2023.09.17 |
아기 배변훈련시기 . 방법 . 기저귀 떼는 단계 (4) | 2023.09.16 |
[영아발달] 생후 19~24개월 (1) | 2023.09.15 |